본문 바로가기

C Programming

변수 타입 및 크기 & 실수의 부동소수점 연산 & 변수 선언방법

변수 타입의 필요성


메모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



변수 타입의 종류


  • 정수를 표현하기 위한 정수형 변수
  • 실수를 표현하기 위한 실수형 변수
  • 사용자가 정의한 자료형을 표현하기 위한 사용자 정의형 변수
  • 아무것도 정해지지 않은 타입을 표현하기 위한 void형 변수



정수형


정수형은 고정소수점 방식으로 부호부와 정수부로 나누어서 표현함


  • 부호부 : 양수이면 0, 음수이면 1을 사용
  • 정수부 : 저장할 데이터의 숫자를 절대값 2진수로 변환하여 저장


정수형의 종류

  • 문자를 표현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문자형 정수(char)
  • 숫자를 표현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일반형 정수(short int, short, int, long int, long)


실수형


실수형의 표현은 부동소수점 방식으로 부호부, 지수부, 가수부로 나누어서 표현함


  • 부호부 : 양수이면 0을 사용하고 음수이면 1을 사용
  • 지수부 : 지수를 2진수로 사용
  • 가수부 : 소수점 이하 10진수로 표현된 유효 숫자를 2진수로 변환하여 사용

실수형의 

배정도 실수형(Double Precision) : double, long double


변수 타입의 종류 및 표현 가능범위